AWS로 웹서버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몇가지 기초작업이 필요했다. 영알못인 나에게 이는 몹시 힘들었기때문에... 한번 정리하고 넘어가야겠다!
기본설정
AWS 가입
클라우드 서비스 | 클라우드 컴퓨팅 솔루션| Amazon Web Services
개발자,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솔루션스 아키텍트 또는 AWS에서 구축하는 방법을 배우는 데 관심이 있는 모든 사용자용 무료 온라인 교육 AWS 전문가가 구축한 500개 이상의 무료 디지털 교육 과정
aws.amazon.com
대학교메일로 AWS education에 가입! 이건 매우 쉬웠음. 그다음 아마존 회원가입을 진행후, 위 링크에서 루트사용자로 가입을 해야한다. 혹시 몰라서 비밀번호도 평소에 잘 안쓰는 걸로 해뒀음(해킹 무서워...)
일단 아마존 루트사용자로 가입을 했다면 콘솔창이 뜨는데, 여기서 재빨리 MFA, 쉽게말해서 opt 2단계 보안 인증을 설정해야함. 해킹 위험성이 낮아지기 때문~!! 혹시몰라서 가입할때 몇만원만 들어있는 카드로 등록하긴 했는데 혹시 모르니깐 꼭 보안을 강화해준다.
Xshell 설치
무료 라이선스 - NetSarang Website
무료 라이선스 무료 사용자의 최고의 선택 Xshell과 Xftp 무료 라이선스는 성능이나 기능적인 면에서 이에 필적할 만한 것이 없습니다. 어떤 것도 따라올 수 없습니다. 가정에서 개인 서버를 관리
www.netsarang.com
가정용 무료 라이선스로 이용할 수 있는 파일 관리 프로그램!! 웹서버를 aws와 연동해서 여기서 열수있음.
- AWS 인스턴스
인스턴스 만드는건 어렵지 않은데, 프리가 아닌 옵션을 선택하면 과금폭탄을 맞을 수 있다고 함!! 나는 그런거 잘 모르니깐 무조건 기본 설정으로 가준다.
웹서버 제어하기
포스팅의 목적... 제어하기에서 한참 헤맸음. 처음에 리눅스로 열었다가 Xshell이 안먹길래 당황했는데 원인이 두가지였음
1. 버전이 안맞는 awscli, nodejs, express등을 다운로드받아서
2. 리눅스 말고 우분투로 했어야했음
curl -sL https://deb.nodesource.com/setup_14.x | sudo -E bash -
sudo apt-get install -y nodejs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awscli
이렇게 하고 aws --version 를 통해 버전이 잘 바뀌었는지 확인해주기!
어짜피 특정 ip에서만 열리게 해놨기때문에 호스트 저거 보여도 상관 없겠지..? 이렇게 사용자 이름을 우분투라면 우분투, 나머지는 ec2-user로 해줘야 제대로 열린다. 그리고 이를 만들때는 각 인스턴스에서 만든 액세스키와 시크릿키, 그리고 ip주소가 꼭 필요한데, 이는 인스턴스-연결에서 확인할 수 있음.
서버를 열때 필요한 key는 파일에 따로 정리해 두었는데, 서버연결할때 꼭 같이 파일도 연결해줘야해서 위치를 잘 기억해둘것~~~~~~!!
aws configure
서버를 잘 연결했다면 이 명령어가 잘 작동할것이다. 여기서 아까 만들어진 액세스키, 시크릿키를 입력하고
디폴트지역으로 ap-northeast-2, 포맷을 json으로 작성하고 엔터쳐주면
aws ec2 describe -instances
위 명령어를 통해 만든 ec2를 확인할 수 있다~~
'Backend & Inf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AWS에서 날아온 청구서, 그리고 계정 일시 중단? 이게 무슨 일이야... (0) | 2022.11.1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