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소 지정
TCP/IP에서 사용하는 중요한 주소의 종류 3가지와 각 주소가 사용되는 계층은 다음과 같다.
1. 물리적 주소(Pysical Adresses) - 데이터링크 레이어
2. 논리적 주소(Logical Adresses) - 네트워크 레이어
3. 포트 주소(Port Adresses) - 트랜스포트 레이어
계층, 즉 레이어에 관한 설명은 이전에 작성한 글에서 확인 가능하다.
[컴퓨터 네트워크] The OSI Model & Layer 7 기초
인터넷(Internet) 컴퓨터로 연결하여 TCP/IP Protocol이라는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해 정보를 주고받는 컴퓨터 네트워크 ex. http, DNS, ftp 등 인터넷의 어원: 1973년 TCP/IP를 정립한 빈튼 서프와 밥 간 ‘네트
tomymoon.tistory.com
물리적 주소(Pysical Adresses)
= MAC 주소: 12개의 16진수로 작성된 48비트(6바이트)의 주소
hop-to-hop 방식 전달: 주소가 계속 바뀜
예전에는 전선에 다른 전선을 추가적으로 연결하는 방식이었다면,
현재는 공유기 역할의 스위치를 통해 멀티적으로 연결한다. 현재 공유기가 이 방식을 따른다.
표준 인터넷 구현(Standard Ethernet implementation)
1. 리피터(Repeater)
피지컬 레이어에서 작동.
신호가 약해지기 전에 동일한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를 재생하여 연장시킴.
2. 허브(Hub)
리피터와 유사하게 증폭시켜서 보내주는 역할.
멀티 포트: 아웃풋의 인터페이스가 다양하여 모든 장치로 전송 가능
충돌 도메인: 패킷 낭비 발생 가능
3. 브릿지(Bridge)
리피터 + 필터링 역할
4. 스위치(Switch)
허브 + 필터링 역할
충돌 도메인 분할 →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유지!
논리적 주소(Logical Adresses) = IP 주소
S to D(source-to-destination) 전달 방식 : 주소가 바뀌지 않고 그대로 유지
위 그림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당장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뒤에서 라우팅 테이블 및 주소 지정에 대해 더 자세하게 배우므로 차근차근 생각하자.
포트 주소(Port Adresses)
= 16비트. 주로 10진수로 표현
같은 인터넷을 사용하는 다른 프로그램들에 포트, 즉 목적지 번호를 부여한다.
0~1023까지는 미리 지정되어 있음. ⇒ 사용자는 1024 이후만 새로 지정하여 할당할 수 있다.
process to process 전달 방식
학교 수업 정리용!
문제 발생 시 비공개 전환합니다.
'CS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소켓 프로그래밍: 프로토콜,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함수호출 (0) | 2025.01.29 |
---|---|
[네트워크] 소켓 프로그래밍 개요 (0) | 2025.01.29 |
[네트워크] TCP 타이머, 옵션 (0) | 2025.01.29 |
[네트워크] TCP segment, control (0) | 2025.01.29 |
[컴퓨터 네트워크] The OSI Model & Layer 7 기초 (0) | 2023.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