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 FEConf 2025 후기 -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다

2025. 9. 10. 17:50·Activities/Conference

 

 

 

 

저번 Google I/O Extended Incheon 2025 행사 후기에 이어서 FEConf 2025 후기이다.

 

FEConf 2025는 프론트엔드 개발자들을 위한 국내 최대 규모 행사 중 하나로, 최신 기술 트렌드와 실제 현업 경험을 공유하는 자리다! 유레카 과정 진행 중 멘토님께서 추천해주셔서 참석하게 되었다🙂

 


 

 

행사 정보

  • 일시: 2025년 8월 23일 (토) 12:00 ~ 18:00
  • 장소: 세종대학교 광개토관
  • 예매처: 티켓타코

이정도 규모의 개발 행사는 처음 참여해봤는데 생각보다 엄청 사람들이 많았다.

참석 전 정보를 찾아보니, 기업에서 운영하는 부스들의 굿즈를 받으려면 12시보다 일찍 도착해야한다고 해서 20분정도 일찍 도착했다.

 

 

 

 

덕분에 강남언니, 모요, AWS , 오늘의 집 등에서 개최하는 다양한 부스에서 이벤트에 참여하고 굿즈를 받을 수 있었다~

받은 굿즈 중 제일 마음에 드는 강남언니의 키캡 키링 굿즈 ><

 

 

 

 

 

나는 세션부터 마지막 세션까지 하나도 놓치지 않고 꼼꼼히 들었다.

티켓이 저렴한 가격이 아니기도 하고, 멀리서 와서 가격값은 뽑고 가자는 마인드였다.

 

 

세션 간단 후기

 

 

 

 

B홀 12:00 – 스벨트를 통해 리액트 더 잘 이해하기 (문대승 | 피오유엘)

FGR, DOM 직접 조작, 애니메이션 을 통해 스벨트의 단순한 문법을 이용해 리액트로 구현하는 방법을 소개했다.

이번 발표에서 FGR(Fine-Grained Reactivity) 개념을 처음 알게 되었다. 전체 컴포넌트를 리렌더링하는 대신 실제로 변경된 부분만 정확히 업데이트하는 시스템으로, Expo의 Legend State 라이브러리가 이를 활용해 리액트의 근본적인 렌더링 방식을 개선할 수 있다는 점이 신기했다.. 스벨트를 잘 몰랐는데, 이번 발표를 통해 정말 흥미로운 프레임워크라는 생각이 들었다.

 

 

B홀 12:50 – 'memo'를 지울 결심: React Compiler가 제안하는 미래 (장용석 | 리멤버앤컴퍼니)

가장 듣고싶었던 세션 중 하나였다. React Compiler의 내부 동작을 코드로 하나하나 설명해주셨는데 발표자료도 정말 알차고 어려운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너무 잘 설명해주셨다..! 특히 Babel로 JS 코드를 AST(추상 구문 트리) 로 변환하는 과정을 자세히 알려주셨는데 AST가 나오는 순간 컴파일러 전공 수업 시간이 떠올랐다. 사실 이런 개념적인 부분을 배우진 않았다보니 전부 처음 알게된 사실이라 너무너무 신기했다. HIR을 통해 코드 실행 흐름을 블록과 엣지로 표현하고, SSA(Static Single Assignment) 변환으로 변수에 하나의 값만 할당되도록 관리하는 과정이 가장 인상적이었다.

 

다만 리액트 컴파일러의 한계도 명확했는데, React 규칙을 위반하면 의도치 않은 메모이제이션이 생길 수 있다는 점이었다. 발표자님 말씀처럼 앞으로는 리액티브한 값이 무엇인지 명확히 파악하는 것에 주목하는게 좋아 보인다.

 

 

 

B홀 13:40 – 중요하지만 긴급하지 않은 일, 그럼에도 계획해야 하는 웹 접근성 (김무훈 | A11YKR 커뮤니티)

일단 가장 놀랐던건 발표자님이 아직 학생이면서도 약 4년 차(내 기억이 맞다면..) 개발자라고 하셔서 놀랐다. 정말 대단하다고 느꼈다. 특히 기억에 남는 건 ARIA의 세 가지 요소(역할, 상태, 속성)와, 무조건 시맨틱 HTML이 우선이고 필요한 경우에만 ARIA를 보조적으로 써야 한다는 원칙이었다.

 

또 접근성을 염두에 두고 UI 개발이 가능한가?라는 질문을 중심으로, 실제로 참여했던 글리프 프로젝트 사례를 소개해주셨다. 발표 중에 처음 알게 된 개념들도 많았다. 초점 흐름 설계 원칙이나 위젯 내 이동 규칙 같은 부분은 평소에 전혀 신경 쓰지 않았던 영역인데, 이 접근법을 배울 수 있어 좋았다. 웹 접근성은 눈앞의 성과가 크게 보이지 않아도, 장기적으로는 모든 사용자에게 중요한 가치라는 점을 기억하자!

 

 

A홀 14:30 – 완전한 ZERO COST CSS-IN-JS, Devup-UI (오정민 | 데브파이브)

회사 대표님께서 직접 발표하셨는데, 말씀을 너무 유려하게 잘해주셔서 오래 기억에 남았다. 발표에서는 빌드 타임 최적화를 적용한 Devup-UI와 함께 CSS-in-JS 런타임 비용 없이 스타일을 관리하는 방법론을 예시 코드로 소개해주셨다. 개인적으로는 CSS를 AST 기반으로 빌드 타임에 추출하는 방식과, 빌드 타임 자체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을 설명해주신 과정이 무척 흥미로웠다.

 

나는 평소에 CSS-in-JS든 Tailwind든 그냥 갖다 쓰는 정도였는데, 이 발표를 들으며 진짜 개발자의 시선으로 성능과 구조를 고민하는 과정을 직접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오픈소스 컨트리뷰션 아카데미도 함께 소개해주셔서 바로 신청했는데, 실제로 참여하게 되어 무척 기쁘다😄

이런 게 바로 커뮤니티 행사 참여의 가장 큰 장점이 아닐까 싶다.

 

 

 

 

 

B홀 15:20 – 후원사 프로그램 (강남언니)

이 세션은 기술적인 내용보다는 마케팅과 애널리틱스 중심의 발표였다.

기술적인 부분보다는, PM이나 사업 운영 관점에서 본다면 꽤 흥미로웠을 것 같다.

 

 

 

B홀 16:30 – TanStack Query 너머를 향해! 쿼리를 라우트까지 전파시키기 (임상원 | 라프텔)

이 세션은 개인적으로 가장 기대했던 발표였다. 발표자님은 TanStack Query와 React Server Components(RSC)를 결합해 데이터 일관성을 확보하는 방법을 다루셨지만.. 중반부부터는 솔직히 이해하기 벅찼다 😅 내 지식의 한계에 다다른 느낌…ㅠㅠ React Server Components(RSC)까지는 흐름을 따라갈 수 있었지만, 오픈소스로 공개하신다는 Dataready 부분에서부터는 너무나도 어려웠다. 아무튼 TanStack Query 아이디어를 가져오되, 쿼리를 정의 → 타입 안전하게 사용 →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방식이라고 하셨는데, 토스 SLASH 22 발표나 Isograph 같은 참고 사례들을 잘 몰라서 어떤 점이 간소화되고 통합된 건지 확실히 이해하기는 힘들었다.

 

영상이 올라오면 꼭 다시 보면서 보충 학습해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래도 발표를 들으며 RSC와 Query를 함께 쓸 때 어떤 복잡성이 생기는지, 그리고 새로운 시도가 왜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느낄 수 있었던 점이 좋았다. 그리고 리액트 쿼리 관련해서는 아직 배울 것이 무궁무진하다는 생각이다.

 

 

A홀 17:10 – 모노레포 절망편, 14개 레포로 부활하기까지 걸린 1년 (김종혁 | 플렉스팀)

연사자님이 유머러스하게 말씀해주셔서 발표 내내 웃음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심지어 PPT도 재밌었음!)

무엇보다 실제로 모노레포를 14개의 레포로 분리하는 데 1년 넘게 걸린 과정을 직접 경험담으로 들을 수 있었다는 점이 인상적이었다. 정기배포 과정 및 슬랙 메시지같은 실무 업무 내용도 약간 있어서 더 재밌지 않았나 싶다.

 

경계 없이 코드를 공유하지 말 것 – 모노레포/폴리레포 여부보다 중요한 건 적절한 경계 설정

코드베이스를 복잡한 상태로 방치하지 말 것 – 패키지가 많아지면 인지 부하가 폭발하므로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의존성 그래프를 보자.

공유 모듈을 정의하고 알맞게 다룰 것 – 진짜 공용화할 가치가 있는 코드(디자인 시스템, 핵심 유틸 등)만 공유하고 나머지는 과감히 중복시켜라.

 

 

후기

첫 FEConf 참가였는데, 세션 내용들이 하나같이 알차고 깊이가 있어 많은 걸 배울 수 있었다.

무엇보다 커뮤니티 중심의 열정적인 분위기를 직접 느낄 수 있어서 좋았다.

이번에는 유레카 친구들과 함께 오기도 했고, 멘토님도 만나 뵙고 외롭지 않았지만, 만약 혼자 왔다면 꽤 외로웠을 것 같다.. 다음에 다시 참여하게 된다면 꼭 네트워킹 세션에도 참여해보고 싶다!

 

 

 

저작자표시 비영리 동일조건 (새창열림)

'Activities > Confer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사] Google I/O Extended Incheon 2025 후기  (11) 2025.08.17
'Activities/Confer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행사] Google I/O Extended Incheon 2025 후기
abyss-s
abyss-s
프론트엔드 개발합니다!
  • abyss-s
    abyss-s의 블로그입니다.
    abyss-s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95) N
      • Web (17)
        • JavaScript (6)
        • TypeScript (1)
        • React (6)
        • Vue (0)
        • Storybook (1)
        • Next.js (1)
      • Backend & Infra (8)
        • Database (3)
        • Node.js (2)
        • SpringBoot (1)
      • PS (71)
      • CS (30)
        • OS (13)
        • Structure & Algorithm (5)
        • Network (10)
        • 정보처리기사 (2)
      • Language (18)
        • OOP (1)
        • JAVA (13)
        • C++ (4)
      • Activities (18) N
        • 멋쟁이 사자처럼 (2)
        • OSSCA (4) N
        • LG U+ URECA (5)
        • Project (2)
        • Conference (2)
      • IT (3)
      • AI (0)
      • Git & Github (5)
      • Notion (1)
      • Statistics (11)
      • Book (5)
      • Diary (1)
      • Game (1)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Github
    • Baekjoon
    • X
    • LinkedIn
  • 공지사항

    • abyss-s의 티스토리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인기 글

  • 태그

    네트워크
    DP
    운영체제
    백준
    Python
    ossca
    자바기반응용프로그래밍
    JavaScript
    BFS
    Java
    C++
    그리디
    BAEKJOON
    React
    자바스크립트
    파이썬
    코드트리
    생활코딩
    OS
    통계학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4
abyss-s
[행사] FEConf 2025 후기 -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다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