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모수를 추정하는데 이용되는 구간
가설검정(hypotheses testing)
모수에 대한 두 가지 가설 중 어느 가설이 타당한지 판단하는 방법
검정통계량(test statistic)
가설검정에 이용되는 통계량
기각역
귀무가설을 기각하게되는 관측값의 영역
오류
제1종 오류(type I error): 귀무가설이 참일 때, 귀무가설을 기각
제2종 오류(type II error): 대립가설이 참일 때,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못함
=>두 가지 오류를 범할 확률인 𝜶와 𝜷를 최소화하도록 기각역을 결정
유의확률(significance probability): p-value (p-값)
주어진 관측값에 대하여 귀무가설 𝑯𝟎를 기각하게 되는 최소의 유의수준
귀무가설 하에서 주어진 관측값보다 더 극단적인 값이 나올 확률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ANOVA)
셋 이상의 모집단의 평균을 비교하는 방법
일원배치 분산분석법(one-way ANOVA)
여러 처리를 두 개씩 여러 번 비교하지 않고 동시에 비교하는 것
SSE(잔차제곱합) = SST(총제곱합) - SStr(처리제곱합)
분산분석표 (ANOVA table)
𝑭 검정 통계량
MStr(평균처리제곱) / MSE(평균오차제곱)
= 𝑭(𝒌 − 𝟏, 𝒏 − 𝒌)
'Statis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계학 - 모비율에 대한 통계적 추론 (0) | 2022.05.30 |
---|---|
통계학 - 통계적 추론(표본의 크기가 클 때) (0) | 2022.05.29 |
통계학 - 표집분포 (0) | 2022.05.08 |
통계학 (0) | 2022.04.16 |
통계학 - 두 변수 자료의 요약 (0) | 2022.04.12 |